TLT vs IEF: 국채 듀레이션
장기 vs 중기 국채의 리스크/리턴
항목 | TLT | IEF |
---|---|---|
펀드명 | 아이셰어즈 20년+ 미국 국채 ETF | 아이셰어즈 7-10년 미국 국채 ETF |
현재가 | ... | ... |
카테고리 | 채권 | 채권 |
운용보수 | 0.15% | 0.15% |
배당률 | 3.31% | 3.03% |
구성종목 수 | 50개 | 11개 |
TLT 상위 구성종목
- 1. 미국 30년 국채
- 2. 미국 20년 국채
IEF 상위 구성종목
- 1. 미국 7년 국채
- 2. 미국 10년 국채
TLT 특징
- •장기 국채
- •금리 민감
- •안전자산
- •헤지 도구
IEF 특징
- •중기 국채
- •적정 듀레이션
- •안정성
- •유동성
장단점 비교
TLT
장점
- ✓ 주식 하락 시 상승
- ✓ 안전자산
- ✓ 유동성 우수
단점
- ⚠ 금리 상승 리스크
- ⚠ 인플레 리스크
- ⚠ 높은 듀레이션
IEF
장점
- ✓ 균형잡힌 리스크
- ✓ 안정적 수익
- ✓ TLT 대비 낮은 변동성
단점
- ⚠ 금리 리스크
- ⚠ 인플레 리스크
- ⚠ 낮은 수익률
투자 전략 제안
TLT 적합한 경우
리스크 헤지용, 금리 하락 베팅, 전체의 10-20%
IEF 적합한 경우
채권 코어 포지션, 안정적 포트폴리오 구성